동물

우리나라 잠자리 종류 / Dragonflies in Korea

Boo & Leo 2025. 6. 25. 13:18
반응형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잠자리 종류는 약 5,000종에서 6,500종 사이입니다.
다만, 연구 기관이나 분류 방식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새로운 종이 계속 발견되기도 합니다. 잠자리목(Odonata)에는 잠자리아목(Anisoptera)과 실잠자리아목(Zygoptera)이 포함되며, 이들을 합쳐 약 7,000종에 달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잠자리는 주로 열대 지방에 많이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약 120여 종의 아름다운 잠자리가 서식하고 있습니다.

잠자리는 크게 잠자리아목(불균시아목)과 실잠자리아목(균시아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요 과(Family) 별로 대표적인 잠자리 종류를 정리했습니다.

A. 실잠자리아목(Zygoptera)

1.물잠자리과 (Calopterygidae)

날개를 반쯤 펼치거나 접고 앉는 특징이 있습니다.

1)물잠자리(Calopteryx atrata)

날개가 일반적으로는 투명하지만, 성숙한 수컷 물잠자리는 화려한 색상의 날개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빠른 속도로 흐르는 깨끗한 물가의 들이나 야산의 개울가에 식물이 자라는 곳이 물잠자리가 좋아하는 서식지입니다.

물잠자리(Calopteryx atrata)/namu.wiki


2)일본물잠자리(Calopteryx japonica)

3)큰물잠자리(Matrona basilaris)

큰물잠자리(Matrona basilaris)/IISDW

2.실잠자리과 (Coenagrionidae)

몸이 가늘고 작은 잠자리들이 많습니다.

1)아시아실잠자리(Ischnura asiatica)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실잠자리 중 하나입니다.

2)참실잠자리(Coenagrion johanssoni)

참실잠자리(Coenagrion johanssoni)/blog.naver.com/ori2k

3)등줄실잠자리(Pqaracercion hieroglyphicum)

색깔은 담갈색 또는 담녹색으로 옅은 색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이름처럼 등 부분에 줄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등줄실잠자리(Pqaracercion hieroglyphicum)/국립생물자원관

3.청실잠자리과(Lestidae)

1)큰청실잠자리(Lestes temporalis)

2)북청실잠자리(Lestes dryas)

국가적색목록 평가에서 '준위협(NT)' 종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이는 산란 특성으로 인해 서식 환경이 특이하고, 그로 인해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크기가 크고 몸의 색깔이 아름다워 심미적인 가치가 높지만, 서식지 훼손 등으로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요.
북청실잠자리는 아름다운 외모와 특이한 서식 습성으로 인해 관심이 필요한 종입니다.
북청실잠자리는 청실잠자리과에 속하는 잠자리 종입니다.
학명은 Lestes dryas이고, 주로 북한 지역에 분포하며, 1936년 서울에서 채집된 기록이 있습니다.

북청실잠자리(Lestes dryas)/Korentowiki

4.방울실잠자리과 (Platycnemididae)

1)방울실잠자리(Platycnemis phillopoda)

한국에 서식하는 실잠자리 종류 중 하나로, 수컷의 가운데와 뒷다리에 방울 모양의 무늬가 특징입니다.

방울실잠자리(Platycnemis phillopoda)/국립생물자원관

B. 잠자리아목(Anisoptera)

1.왕잠자리과 (Aeshnidae)

크기가 크고 비행 능력이 뛰어납니다.

1)장수잠자리(Anotogaster sieboldii)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잠자리 중 하나입니다.

2)왕잠자리(Emperor dragonfly/Anax parthenope)

몸집이 크고 인상적인 잠자리로,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유럽 등지에 널리 분포합니다.
'왕'이라는 뜻의 학명(Anax)을 가지고 있을 만큼 커다란 몸집이 특징입니다.

왕잠자리(Anax parthenope)/Wikipedia

3)먹줄왕잠자리(Anax nigrofasciatus)

수컷은 푸른색을 띠는 경우가 많아 눈에 띕니다.
이름처럼 몸에 검은색 줄무늬가 특징이며, 이 줄무늬는 개체나 성별에 따라 미묘하게 다를 수 있습니다.


4)한국개미허리왕잠자리 (Boyeria Koreana)

국내에서 신종으로 발표된 적이 있으나, 현재는 다른 종과 동일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2.측범잠자리과(Gomphidae)

1)노란측범잠자리(Lamelligomphus ringens)

산과 들판의 개울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2)노란배측범잠자리 (Sinictinogomphus clavatus)

환경부 지정 보호대상종입니다.

노란배측범잠자리 (Sinictinogomphus clavatus)/namu.wiki


3.장수잠자리과 (Cordulegastridae)

1)어리장수잠자리 (Cordulegaster annulata)

어리장수잠자리 (Cordulegaster annulata)/국립생물자원관


4.북방잠자리과(Corduliidae)

1)청동잠자리(Cordulia aenea)

5.잔산잠자리과(Macromiidae)

1)노란잔산잠자리(Macromia amphigena)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어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습니다. 국가적색목록 평가에서도 '위기(EN)' 등급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겹눈은 밝은 연녹색을 띠고, 가슴은 금속성 광택이 강한 청록색에 노란 줄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배는 검은색 바탕에 노란 무늬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색상 조합 때문에 '노란'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보입니다.

노란잔산잠자리(Macromia amphigena)/국립생물자원관


6.잠자리과(Libellulidae)

다양한 종류가 속하며, 흔히 볼 수 있는 잠자리들이 많습니다.

1)고추잠자리(Crocothemis servilia)

2)검은꼬리잠자리(Orthetrum cancellatum)

유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이지만, 한국에서는 흔하지 않습니다.

3)밀잠자리(Orthetrum albistylum)

4)꼬마잠자리(Nannophya koreana)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보호받고 있습니다.
이는 꼬마잠자리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작은 잠자리 중 하나이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개체군 및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한국에 서식하는 꼬마잠자리는 최근 연구를 통해 동남아시아 종과 다른 한국꼬마잠자리(Nannophya koreana)'라는 고유종으로 확인되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꼬마잠자리는 환경부가 지정한 중요한 보호 대상 야생생물입니다.

꼬마잠자리(Nannophya koreana)/곡성군

5)대모잠자리(Sympetrum depressiusculum)

대모잠자리는 잠자리목 잠자리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학명은 Libellula angelina Selys, 1883입니다. 2012년과 2017년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었으며, 국가적색목록 평가에서는 위기(EN), IUCN 범주에서는 위급(CR)으로 평가되었습니다. 

대륙고추좀잠자리(Sympetrum depressiusculum)와 혼동될 수 있지만, 대모잠자리는 별도의 종입니다. 
대모잠자리는 한국 고유종으로, 한반도에서만 발견됩니다. 

대모잠자리(Sympetrum depressiusculum)/국립생물자원관


6)고추좀잠자리

수컷이 성숙하면 고추잠자리처럼 배가 빨갛게 변합니다. 크기는 중소형이며, 먹이는 주로 모기 같은 소형 곤충들을 잡아먹습니다.

7)된장잠자리(Pantala flavescens)

가슴은 회색을 띤 황색이며, 배는 선명한 등황색으로, 전체적으로 된장과 비슷한 색을 띠고 있어 된장잠자리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8)깃동잠자리(Sympetrum infuscatum Selys, 1883)

암수 모두 날개 끝에 갈색의 깃동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날개의 네 귀퉁이가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지방에 따라 '태극잠자리'로 불리기도 한다.
특유의 앉는 자세로 멀리서도 구별할 수 있다.

깃동잠자리(Sympetrum infuscatum Selys, 1883)/namu.wiki

9)나비잠자리(Rhyothemis fuliginosa Selys, 1883)

나비같이 펄럭이며 날아다니지만 잠자리의 기동력은 그대로다. 아름다운 색상을 띠고 있으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서식한다.

나비잠자리(Rhyothemis fuliginosa Selys, 1883)/namu.wiki

이 외에도 매우 다양한 잠자리들이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으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는 종류도 있습니다.

잠자리는 수서곤충이므로 깨끗한 물 환경에서 주로 서식하며, 환경의 지표종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반응형